2017년 3월 10일, 온 국민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기다리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8대 0의 만장일치로 헌법재판소는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했다. 헌법재판소는 헌법, 국가공무원법, 공직자윤리법 등의 위반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에 앉아 무거운 책임을 짊어진 그가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다하지 않아 받는 대가였다. 그렇다면 박 전 대통령은 법이 말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말했던 약속은 잘 지켰을까.
박근혜 정부가 내건 슬로건은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국민 행복, 희망의 새 시대’, ‘신뢰받는 정부’ 총 세 가지였다. 박 전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자신의 꿈을 이뤘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국민은 꿈을 꿀 수 없었다. 나라는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했으며, 국민은 촛불집회와 대통령의 탄핵으로 비로소 새로운 희망을 봤다. 청년들은 일하기 더욱 힘들어졌고, 노인과 장애인은 복지를 보장받지 못했으며, 비정규직은 더 나은 일터에서 일하지 못했다. 그가 국민을 위해 내놓았던 공약은 실상 국민을 위한 공약이 아니었고, 내놓은 공약조차 지키지 않았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후보 중 한 명이었던 박 전 대통령의 두툼한 공약 책자를 보고 그를 뽑은 국민은 아무것도 받을 수 없었다.
공약을 부득이하게 지키지 못하게 될 경우 대통령은 사과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해야 하지만 지켜지지 않은 수많은 공약 뒤에 그의 사과는 없었다. 정부가 보호해줘야 하는 국민은 그의 재임 기간이었던 4년을 잃어버렸고, 그는 결국 ‘군주민수’라는 사자성어를 뼈저리게 느끼게 됐다. 진정 국민을 생각한다면 대통령은 그들의 입장에 서서 배려하고 고민하며 공부해야 한다. 자신이 내놓은 공약에 오류가 있다면 인정하고 바로 잡는 것이 도리다. 5천만 명의 국민의 입장을 수용하고 배려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국민 편에 서서 바라보는 노력조차 하지 않는 대통령이라면 국민의 대표가 될 수 없다.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자신에게 맡겨졌던 역할과 자리를 무거워하지 않았던 대통령. 공약이라는 단어는 그저 대통령에 당선되기 위한 도구로 여겼던 그에게 지금의 상황은 예견된 것이었으리라.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