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과 현대 추리소설, 그 오묘한 차이!

추리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는가? 추리소설의 사전적 의미는 ‘수수께끼 풀이에 중점을 두는 소설’이다. 1841년 E.A.포의 <모르그가의 살인>이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를 만들었다는 것이 평론가들의 일치된 견해이다. 고전 추리소설이자 세계 3대 추리소설로 인정받는 아가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엘러리 퀸의 ‘Y의 비극’, 윌리엄 아이리시의 ‘환상의 여인’은 현재까지도 추리소설 애호가들에게 명작으로 기억되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현대 추리소설은 이와 다른 색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매혹시킨다.

정황, 증거, 목격자 증언이 필수!

고전 추리소설은 사설탐정과 같은 인물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형사는 노력에 비해 무능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엘러리 퀸의 ‘Y의 비극’을 보면 은퇴한 배우인 드루리 레인이 사건 해결의 주된 인물로 나타난다. 그리고 샘 경감은 사건 해결에 있어 엉뚱한 곳만 들추는 무능함을 보여준다. 코난도일의 ‘셜록홈즈 시리즈’에서도 레스트레이드 경감은 항상 홈즈보다 수사에서 한 발 늦는다.

고전 추리소설은 사건을 3인칭 관점을 통해 최대한 객관적으로 나타낸다. 이는 사건 현장의 정황이나 증거를 최대한 자세히 묘사하기 위함이다. Y의 비극에서 이러한 특징은 벙어리 장님인 목격자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사건 현장을 목격한 증인이나 증거물을 통해 범인을 잡아내는 것이다.

심리적 요소까지!

한편 현대 추리소설은 형사와 심리학자의 만남, 범죄학과 심리학의 조화가 가미된 특성을 지닌다. 현대 추리소설 중에서는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등 6개 상을 석권한 미야베 미유키의 ‘모방범’이 대표적이다. 모방범에서 주목할 점은 트릭이나 반전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심리 서술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다. 이 책의 묘미는 범인을 찾는 데에 있지 않다. 오히려 범인은 초반에 나타난다. 범인에 대한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상태에서 심리적 요소를 통해 범인의 자백을 받아내는 데에 중점을 둔다. 또한 고전 추리소설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피해자 가족의 심리’ 등과 같은 부분도 중요시 한다. 제드 러벤펠드의 ‘살인의 해석’도 역시 현대 추리소설의 특징을 보여준다. 소설 중 인물인 프로이트는 제자 융과 미국에서 일어나는 연쇄 살인사건의 정신분석을 맡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심리학과의 접목을 통해 사건을 풀이해 나간다. 단순 추리만으로 범인을 찾아내던 고전 소설과 다른 차이점을 만들어 낸 것이다.

추리소설은 오늘에도 많은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수많은 책으로 발간되고 있다. 각자의 매력을 가지고 있는 고전 추리소설과 현대 추리소설, 우리 모두 범죄현장 속으로 빠져들어 그 속에서 진실을 은폐하려는 범인을 추격해 보는 것은 어떨까?

정세진 기자 jungsj@hgupress.com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