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로너스

16 언론정보 남궁재원

국민의 여론으로 작동하는 민주사회에서 언론은 제1의 권력이다. 점점 복잡해지고 다원화되는 이슈들은 언론의 의제설정을 통해 중요도가 결정되며, 이를 통해 국민들은 여론을 형성하게 된다. 문민정부 이전 군부독재시절, 정부가 언론통제를 최우선순위로 여겼다는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에서 언론과 정치권력 간의 독립은 민주주의가 유지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여겨졌으며, 언론에게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당연한 상식처럼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언론의 자율성보장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했다.

“선동은 문장 한 줄로도 가능하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하려고 할 때면 사람들은 이미 선동당해 있다.” 나치 독일의 초대 선전장관인 파울 요제프 괴벨스의 말이다. 괴벨스가 실제로 이 발언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이 말이 현대사회에서도 유의미하게 적용된다는 것에는 크게 이견이 없을 것이다.

가짜뉴스 또한 선동의 일환으로서 민주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 언론에 대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담론과 진영 간 이념 대립의 심화는 언론으로 하여금 더 많은 가짜뉴스를 생산하도록 했고, 신뢰가 전제되어야 할 언론은 팩트체크라는 방식을 통해 스스로를 검증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가짜뉴스는 특정 이익집단을 대변하기 위한 목적으로 허위사실에 기반한 정보를 생산한다는 점에 있어 자유보장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언론을 여론조작의 도구로 전락시키기 때문에 규제되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언론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방안이 마땅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정 주체에 따른 언론통제가 민주사회에 얼마나 큰 해악을 불러일으키는지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가짜뉴스문제의 해결방법으로 뉴스 이용자의 소비방식개선을 제시한다.

나는 뉴스 이용자들이 1) 출처를 확인하고, 2) 전문가에게 질문하거나 3) 다양한 관점의 뉴스를 접하는 방법을 통해 스스로 뉴스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선택적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것이 가짜뉴스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중이 뉴스에 대한 능동적인 소비주체가 되었을 때 언론은 자의적인 의제설정을 멈출 것이고, 비로소 국민이 민주사회의 제1의 권력으로서 존재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