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을 위해 차기 자치회의 구성이 시급

이번 생활수칙 개정으로 자치회가 어떤 단체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우선 수칙개정 과정에서 자치회가 학생들의 의견을 얼마만큼 대변했는지, 그리고 개정에 있어서 자치회가 주도적으로 대처했는지 등에 많은 학우들이 궁금해했다.

한동신문사는 28일부터 31일까지 829명의 학우들을 대상으로 자치회의 본 기능에 대해 설문 조사했다. 그 결과 “학우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학생기구이다”가 68%(6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활관운영위원회(이하 생운위)의 하위기구다”가 14%(134명), “관심 없다”가 13%(120명)순이었다. 또한 나머지 기타의견 5%(50명)중 학생기구와 생운위 양쪽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답한 학우가 3명, 보기가 너무 극단적이라 신문사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설문조사 같다고 의견을 낸 학우도 있었다.

문성보 임시 자치회장은 “생활관 안에 간사회와 자치회가 존재한다”며 “이는 학생기구임에 동시에 총학생회집행부와는 틀리게 관리자적 측면도 존재한다는 것을 말한다”고 밝혔다. 박영춘 학생처장 역시 “학생들이 뽑고 학생들의 의견을 대표하는 학생기구인 동시에 생운위 구성 멤버 중 하나로 집행할 수 있는 권한도 함께 가진다”고 전했다.

현 총학생회 회칙상 자치회는 총학생회의 산하기구인 학생기구다. 하지만 자치회칙 제 4조 1항인 ‘정회원은 본교의 재학생 중 학생생활관에 거주하는 학생으로 자치회비를 완납한 자로 한다’에 근거해 자치회원은 생활관에 거주하는 대학원생도 자치회원으로 포함된다.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총학생회 회칙에는 충돌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작년 총학생회 회칙이 개정할 때부터 시작해 총학생회 회칙과 자치회칙이 조율하여 개정되지 않는 한 풀리지 않고 있다. 회칙이 충돌하여 다른 해석이 나온다면 자치회의 성격 또한 얼마든지 바뀔 가능성이 있다.

정빛나 학생회장은 회칙의 충돌에 대해 “총학생회 회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자치회원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치회는 생운위 하위기구가 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며 “회칙개정을 위해 차후 임시자치회와 만남을 가져 의견을 조율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지승원 생활관장은 자치회의 성격에 대해 “개인적으로 총학생회에 들어가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며 “학생들 스스로가 조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치회 구성이 최우선”이라며 “후보자도 나오고 조직도 나와야 총학생회와의 관계설정도 할 수 있다”고 더했다.

문성보 회장은 “이 문제는 차기 자치회와 차기 총학생회의 주도로 출범 초기부터 조율을 시작해서 충돌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열심히 하겠다는 차기 자치회 후보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지승원 생활관장 역시 차기 자치회 선거에 대해 “자기 앞가림하기도 바쁜 것 이해는 되는데, 공동체에 대한 봉사의 경험도 된다”며 “예비된 사람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자치회로 섬기는 것에 의견을 전했다.

차기 자치회에 맡겨진 임무가 특히 많다. 회칙의 충돌로 인한 조율, 자치회의 방향 재설정, 수칙개정으로 인해 학우들로부터 받은 불신에 대한 회복 등 이 모두 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오직 섬기는 마음으로 준비된 차기 자치회가 나오는 것이 문제해결의 유일한 시작이다.

진영균 기자 rbsrj@hotmail.com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