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닥터 박은 희망을 운전합니다
 
 
<아픈 만큼 사랑한다>는 한 선교사의 삶을 카메라에 고스란히 담고 있다. ‘필리핀의 한국인 슈바이처’라 불린 고(故) 박누가 선교사는 30여 년 동안 버스 한 대로 필리핀 오지를 누비며 의료 봉사에 힘썼다. 빈민촌 사람들에게 ‘닥터 박’이라고 불리던 그는 그들의 희망이었다.
시한부의 삶을 선고받았음에도 자신이 아픈 만큼 환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사랑할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했던 박 선교사, 그가 보여준 봉사와 헌신은 사랑 그 자체였다.
 
필리핀에 울리는 희망의 목소리
 
하나님을 만날 수 있게 하나님이 보내신 분 같아요.”
-이시도르(필리핀 학생)-
 
“메디컬 체크!” 구수하고도 정겨운 목소리가 필리핀 오지 마을에 울려 퍼진다. 박 선교사는 마땅한 의료 시설이 없어 죽음이 일상이 돼 버린 이들을 위해 오늘도 발걸음을 뗀다. 그 목소리를 뒤로, 반가운 표정을 띤 필리핀 주민들이 하나둘 닥터 박을 맞이하기 시작한다. 그가 이번에 찾은 곳은 피나투보의 아이타족 마을. 아이타족 원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일교차가 심해 감기로도 목숨을 잃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들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더더욱 치료를 멈출 수 없다. 박 선교사는 능숙한 솜씨로 점검을 마치고 한국에서 직접 공수해 온 약과 비타민 등을 주민들에게 건넨다. 약을 잊지 말고 챙겨 드시라는 그의 말에는 진심 어린 걱정이 담겨있다. 닥터 박의 방문으로 천식으로 인해 고통스러워하던 노인과, 아픈 아이를 바라보며 시련에 잠겨있던 아이 엄마의 입가에는 옅은 미소가 피어오른다. 그들에게 닥터 박은 의사 이상의 존재였다.
외과의사라는 안정적인 직업 아래 한국에서 보장된 삶을 누릴 수 있었던 그였다. 그가 필리핀에서 의료선교를 시작한 건 1989년. 우연한 기회로 방문하게 됐던 의료봉사에서 그는 사람들의 고통을 보았고, 그곳에 자신의 사명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루손섬 바기오 북부의 산악지대를 사역지로 택했다. 바기오에서 12시간 동안 비포장도로를 달려야 닿는 오지였다. 누구도 오지 않는 곳이라는 사실이 그를 붙잡았고, 이후 필리핀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오지만 찾아다니며 죽어가는 생명을 돕기 시작했다.
그가 간단한 질병으로도 목숨을 위협받는 필리핀 오지 마을에서 의료선교를 이어온 지도 어언 30년이다. 박 선교사는 정기 점검을 위해 아무리 먼 오지라도 꼭 방문했다. 그는 환자들을 직접 찾아가는 것은 물론, 2010년 필리핀에 누가선교병원을 세워 주민들을 대상으로 무료 의료 봉사를 진행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버스
 
 
봉사도 즐기면서 해야 오래가요. 즐거운 마음으로, 여행가는 마음으로 해야 오래가요.”
                                                                                       
- 박누가 선교사 -
 
부르릉, 시동 걸리는 소리만 벌써 열댓 번째. 까맣게 타들어 가는 그의 속을 아는지 모르는지 당최 버스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갈 길이 삼 만리인데 버스가 마음처럼 움직여주지 않는다.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려 주기만 해도 감사한 이 중고 버스의 이름은 ‘메디컬 버스’. 버스에는 ‘Medical Mission’이라는 글자가 큼지막이 쓰여있다. 박 선교사는 의료사각지대의 사람들을 찾아가기 위해 직접 버스 면허를 따고 중고 버스를 구입해 의료 버스로 개조했다. 사람들을 치료해줄 수 있는 공간뿐 아니라 잠자리까지 제공해주는 이 버스는 그의 보물 1호다.  
박 선교사는 이 버스 한 대로 30여 년 동안 의료 봉사를 이어왔다. 그는 누가선교병원을 거점으로 메디컬 버스를 타고 50여 곳의 오지 마을을 다니며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찾아갔다. 그는 메디컬 버스를 통해 현장에서 외과 수술을 진행하기도 했다.버스가 오래돼 자주 고장이 나도 그는 버스 운전대를 잡을 때면 언제나 흥겨운 콧노래를 불렀다.   
 
아플수록 사랑하게 하소서
 
“한국에서 유능한 의사가 되었다면 돈은 많이 벌었겠지만, 저의 건강이 이미 40대에 없어졌을 것입니다. 제가 환갑이 넘도록 살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확신으로 살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종교를 떠나 진실입니다.”
- 박누가 선교사 -
 
 
박 선교사는 필리핀 오지를 돌아다니며 장티푸스, 콜레라, 뎅기열 등을 비롯한 10여 가지 질병을 앓았다. 병마가 그의 몸과 마음을 지치게 만드는 순간에도 그는 봉사를 멈추지 않았다. 급기야 1992년 췌장암이 발병했지만 다행히 초기에 발견해 치료가 가능했다. 그 후 12년 뒤인 2004년, 위암이 발병했지만 그는 낙심하지 않았다. 치료 후 다시 선교지로 돌아갔지만 말기 암이 쉽게 완치될 리 없었고, 계속되는 봉사로 몸이 혹사되는 가운데 회복은 더디었다. 2009년엔 간경화에 당뇨까지 더해졌다. 2016년 5월 위암은 결국 재발했지만 더해지는 고통 가운데에도 그는 감사드렸다. ‘아파 보니 환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 그가 삶에서 드리는 감사를 증거하는 한 마디였다.
 
당신의 삶에 던지는 질문 - <아픈 만큼 사랑한다> 임준현 감독 인터뷰
 
<아픈 만큼 사랑한다>는 영화화되기 이전에 두 차례에 걸쳐 KBS1 인간극장에서 방영돼 많은 이의 가슴을 따뜻하게 적셨다.해당 방송을 연출한 임준현 감독은 지난해 8월 박 선교사의 별세 후, 그의 발자취를 기리기 위해 <아픈 만큼 사랑한다>의 영화화를 진행하게 됐다.임 감독은 박 선교사의 삶을 담은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삶의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질문한다.
 
 
Q 박누가 선교사님의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게 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임준현 감독(이하 임): 처음에 2011년도 연말 특집으로 인간극장 방송을 준비했었어요. 그러면서 연말에 어떤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 고민을 하다가, 해외에서 봉사하시는 분을 찾기 시작해서 선교사님을 알게 됐어요. 첫인상도 좋으셨고 굉장히 진정성이 느껴져서 촬영을 시작했고 5년이 지나고 나서 암이 재발하셨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근데 그 와중에서도 의료봉사를 놓지 않으셨기 때문에 기록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두 번째 인간극장을 촬영했죠.
 
Q 선교사님의 삶을 통해 전달하고 싶으셨던 점은 무엇인가요?
 
임:돌아가시고 나서 만들어진 영화이기 때문에 왜곡 없이, 선입견 없이 사람들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종교인, 선교사 보다는 인간 박누가로도 사람들이 봐주시길 바랬어요. 사명감을 가지고, 종교 이전에 아픈 사람들을 보고 지나칠 수 없었던 기본적인 마음에서 출발을 하셨던 거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객관적으로 담으려고 노력했고, 사람들이 오해라든지 곡해하는 부분이 없게 만들고 싶었어요. 그래서 그 삶을 보면서 내가 인생을 살면서 소중하게 여겨야 할 것은 무엇일까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Q 작품에 녹아있는 종교적인 색채가 비기독교인들에게는 거리감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관객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임: 영화를 배급하고 마케팅하는 분들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보게 할 수 있을까에 있어서 고민이 있는데, 저는 영화가 그런 타깃을 정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해요. 영화의 주를 이루는 내용이 인간극장에 방영됐던 내용이었고. 그래서 영화 안에 종교적인 색채를 많이 넣지 않으려고 했는데, OST를 두 곡을 넣었거든요. 하나님의 은혜, 파송의 노래를 넣었는데 기독교가 아닌 분들은 조금 낯설었다고 얘기하시더라고요. 저도 음악에서 고민이 있었지만, 하나님의 은혜라는 가사 자체가 선교사님과 굉장히 잘 어울렸고 노래 자체가 워낙 좋아서 거부감이 없을 거라고 예상했던 부분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Q 영화의 내레이션을 맡으신 추상미 감독님께서 작품에 대해 ‘소유하는 삶이 성공이라고 여기는 현대 사회의 허를 찌르는 영화’라고 표현하셨는데, 이 부분에 공감하시나요?
 
임:그렇죠. 현대 사회는 당장 눈앞에 있는 행복만을 좇으면서 사는 것처럼 보이잖아요. 예를 들면 좋은 집, 좋은 차, 좋은 직업과 같은 것들에 우선 가치를 두고 살고 있는데 선교사님의 삶을 보면서, ‘내가 진짜 이것들을 이뤄내면 나에게 진정한 행복이 올까?’를 물어볼 수 있는 영화일 거라 생각을 했어요. 저 스스로에게도 ‘너 이렇게 살아서 행복하냐’고 물어봤고. 그런 생각을 하면서 만든 영화이기 때문에 공감합니다.
 
Q 작품의 분위기가 밝고 따뜻한데, 선교사님이 하신 말씀(봉사도 즐기는, 여행가는 마음으로 해야 오래간다)과 비슷하다고 느꼈어요. 의도하신 부분인가요?
 
임: 슬프고 숭고한 삶으로 보여지도록 오히려 그 부분을 부각시킬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만들고 싶지 않았어요. 선교사님이 그렇게 하시지 않았기 때문에. 몸이 아프신데도 필리핀으로 가시고 의료봉사를 가시면 오히려 더 기운이 나신대요. 입맛도 거의 없으신데 거기에 가면 입맛도 돌고 사람이 생기가 난다고 할까, 그런 모습이셨어요. 아픈 와중에서도 봉사를 즐겁게 하셨기 때문에 영화가 따뜻하게 나온 것 같아요.   
 
Q 마지막으로 아직 영화를 접하지 못한 관객분들에게 해주고 싶으신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영화 제목이 ‘아픈 만큼 사랑한다’잖아요. 인생의 절반 이상을 남의 아픔을 치료하면서 사셨어요. 어떤 꿈을 향해 달려갈 때 좌절하거나 지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 영화를 보면 삶에 대한 원동력이 생겼으면 좋겠고 나는 어떤 것에 가치를 두고 살아야 할까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지치거나 힘들거나 마음에 상처가 있는 분들이 선교사님 이야기를 통해서 치유될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송수빈 기자 songsb@hgupress.com
사진제공 ㈜드림엔터테인먼트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