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4일부로 KBS와 MBC 두 공영방송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했다. 2012년 KBS와 MBC 총파업 이후 5년 만이다. 2012년 총파업 사유는 당시 KBS와 MBC 사장 퇴진이었다. 올해도 같은 사유다. 두 노조는 현 KBS와 MBC 사장의 퇴진을 외치고 있다. 노조가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이유는 정부의 낙하산 사장들이 행한 정권의 언론 장악과 이에 따른 방송탄압이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때부터 존재한 정부의 언론 간섭 의혹들과 최근 밝혀진 문건과 증언들로 인해 정권의 언론 장악은 사실상 확실시됐다. 공영방송은 정부의 언론 간섭으로 왜곡되고 편파된 보도로 자행했다. 이로써 공영방송은 ‘사실전달’과 ‘권력감시’라는 언론의 주된 기능을 상실했다.
2012년, 2017년 두 번의 총파업을 겪으면서 공영방송이 가야 할 길은 무엇일까. 먼저 공영방송 사장위임에 대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언론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가장 크게 보장돼야 할 것은 ‘독립성’이다. 하지만 현재 공영방송 인사구조는 이사진을 대통령이 위임하는 체계다. 이런 체계는 정권으로부터 언론의 독립성을 제할 가능성과 정부의 언론 장악 위험성이 있다.
구조적 문제에 대한 해결과 더불어 공영방송의 주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겠다. 한 대학 캠퍼스 총파업 선전 현장에서 대학생들이 공영방송 총파업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느꼈다는 KBS 박인석 피디의 말처럼 국민들은 총파업에 대해서 심각성은 인지하지만 엄청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공영방송 총파업을 방송국 내부 인원만의 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공영방송이라는 단어에 내포돼있듯이 공영방송은 국민의 방송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며 공영방송을 정보를 전달받을 제1순위 당사자는 국민이다. 공영방송의 주인은 국민이며, 이번 총파업으로 공영방송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당사자는 국민이라는 자각이 우리에게 더욱 필요하다.
총파업이 아직 진행 중이다. 2012년 총파업은 KBS와 MBC 사장 퇴진을 이뤄내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서늘한 겨울이 다가오기 전, 하루빨리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으로 공영방송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