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소식으로 전국이 뜨겁다. 언론에서는 시시각각 사드 배치와 관련된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고, 그와 관련한 다양한 논쟁이 오가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는 성주 군민 900여 명이 삭발식을 진행했다. 지난 22일에는 김항곤 성주 군수가 성산포대가 아닌 다른 장소에 사드 배치를 검토해달라고 국방부에 공식 요청했다. 새로운 후보지가 검토되자 인접한 김천 지역도 사드 배치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사드 관련 기사를 들으면 두 가지 이유로 안타까운 감정이 든다. 첫째로 안타까운 것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다리기 외교를 할 수 밖에 없는 대한민국의 처지이다. 사드 배치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한국 정부의 외교적 고충이 느껴진다.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미국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중국과 친밀한 관계를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필요성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여, 중국 주도의 AIIB 가입 등의 사건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러한 한∙중 관계를 의식이라도 한 것일까?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히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한국을 방한하는 등 강력히 의사를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보고 있으면 400여 년 전 명과 청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취할 수 밖에 없었던 광해군의 고충이 느껴지는 듯 하다.
 하지만 가장 안타까운 것은 거듭되는 다양한 사드 논쟁이 사드 배치 주장 초기의 논점과 어긋나고 있다는 것이다. 사드의 외교적 문제, 비용적 문제, 전자파 문제, 군사적 실효정 문제, 지역적 문제, 그렇다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사드가 처음 도입이 주장됐을 때의 목적인 ‘한반도의 비핵화와 북한의 핵포기, 그리고 그로 인한 평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쟁이나서 승리하는 건 의미가 없다. 진정한 평화는 전쟁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사드 배치 결정’이라는 경계에 서 있는 한국 정부와 국민들이 선택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