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을 통해 민심 성적표를 받아본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3년만에 언론과 직접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청와대에서 열리는 오찬간담회에 46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을 초청한 것이다. 신년 기자회견과 달리 주제에 제한 없이 자유로운 질의응답이 오갔다. 불통과 고집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박 대통령이 스스로 ‘소통’의 장으로 나섰기 때문에 뜻깊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자신이 속해 있는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 결과에 대해 “국민들이 식물국회에 변화, 개혁을 요구하며 양당체제를 3당 체제로 만들었다”라고 말하며 늘 그래 왔듯이 국회 탓을 했다. 정부와 대통령의 책임이라는 목소리는 한마디도 꺼내지 않았다. 소통하기 위한 간담회가 결국 대통령의 불통을 다시 확인한 답답한 대화의 장이 돼버린 것이다.

한동대 역시 ‘소통’의 장으로 나왔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과의 자유로운 대화가 오갔다. 하지만 문제는 내용이다. 지난 3월 23일에 열린 버스 소통마당은 16-1학기 개강일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버스 요금 인상안을 잠정적으로 연기한 채 진행됐다. 인상된 요금이 시행될 날짜는 계획보다 미뤄졌다. 하지만 어찌 됐건 800원이라는 요금은 확정된 상태에서 소통마당이 출발한 것이다. 이 자리에서 버스요금 800원이라는 답을 정해놓은 한동대 측은 학생들을 설득하려 했고, 학생들은 한동대 측의 주장에 의문을 가졌다.
 한동대의 영상 전임교수 충원 거부 이후 있었던 언론정보문화학부 임시회의도 마찬가지다. 16-1학기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 충원 계획이 없음을 번복 불가하다는 것은 이미 정해진 한동대 측의 입장이었고, 학생들은 “공부하고 싶다”라며 한동대 측의 정해진 대화 내용에 의문을 가졌다. 한동대 측과 학생들은 분명 ‘소통’의 자리에서 마주하며 대화를 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한동대 측과 학생은 막혀있고 잘 통하지 않았으며 뜻이 서로 통하지 않아 오해가 있었다.
 한동대에게 ‘소통’을 물었다. 그리고 한동대 측은 한동대 교육의 발전과 방향성에 대해 학생, 학부와 소통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였다. 앞으로 다양한 소통의 방법을 통해 더 많은 학생과 다른 한동대 구성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한동대 측은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 충원 사안의 본질적 원인으로 소통의 부재와 그로 인한 오해를 들었다. 학생들에게 “학교가 언론정보문화학부를 없애려 한다”는 정도의 오해가 쌓였다면 불통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한동대 측은 소통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소통에 대한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무엇이 문제인 걸까. 대화를 나눴음에도 통하지 못했다.

 

저작권자 © 한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